![사용자 삽입 이미지](https://t1.daumcdn.net/tistoryfile/fs5/9_5_33_17_blog137704_attach_0_2.jpg?original)
"사회학의 발흥은, 19세기 정치학과 정치기술의 개념이 쇠퇴했던 것과 관련되어 있다. 사회학에서 진정 중요한 것 치고 정치학이 아닌 것이 없다. '정치'는 의회정치, 혹은 개인적 파벌의 정치와 동의어가 되었다. 헌법과 의회가 '자연적' '진화'의 시대를 열었으며 사회는 그 결정적인, 즉 합리적 기초를 발견했다는 신념. 보라! 이제 사회는 자연과학의 방법으로 연구될 수 있지 않은가? 이러한 관점에서 초래된 국가 개념의 빈곤화. 만약 정치학이 국가에 대한 과학이고, 국가는 지배계급이 자신의 지배를 정당화하고 유지해 나갈 뿐 아니라 자신들이 지배하는 자들로부터 적극적인 동의를 쟁취하는데 사용하는 실천적, 이론적 활동의 총 복합체라고 한다면, 사회학의 근본적 문제들이란 곧 정치학의 문제들에 불과한 것임이 분명하다...."
자본주의 생산양식이 가진 고유한 특징이 분업의 시, 공간적 가속화라면, 속칭 학문의 "나와바리" 역시 그러한 분업의 요구에 맞추어 끊임없이 분열과 융합을 거듭한다. 어떤 경우는 그 학문의 고유한 영역이 새로 생긴 학문에 분할되고, 그 분할은 처음의 학문이 삼았던 결정적 대상을 모호하게 만들어 버린다. 그 결과, 양쪽 모두가 애초에 풀기를 바랬던 문제에 대해 '분할'을 근거삼아 그것은 이미 지나간(혹은 이미 풀린) 문제라고 넘겨 버리는 사태가 발생한다.
이런 사태는 흔히 실용학문이라 불리우는 영역에서 가장 빈번히 등장한다. '신문방송', '행정', '문화콘텐츠'..등등. 이들은 분업의 가속화에 따른 당대의 기술적 요구로서 등장하며, 이런 이유로 애초에 어떤 특정한 학문으로부터 떼어올 영역이 존재하지 않는다. 분할시킬 영역이 어디에도 없다는 것은, 달리 말하면 어느 학문분야에서건 자신들의 몫이라고 주장할 것이 무한대라는 뜻이기도 하다. 사태가 여기까지 이르면, 결국 이들 신생학과들은 그곳에 밥줄을 대려는 지식인들의 싸움터가 될 뿐이다. 그러한 싸움에 동참하지 않는 이들은, 오만하거나 현실을 모르는 철없는 애송이로 취급될 뿐이다.
그람시의 말을 따르자면, 정치학은 자신들의 중요한 문제를 사회학에 떠 넘김으로써 "의회정치, 개인적인 파벌의 정치"만을 다루게 되었다. 결국, 신문방송학에서는 이 핵심을 잃어버린 정치를 가져와 "정치 커뮤니케이션", "정치광고"를 만든 셈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