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의 생은 미친 듯이 사랑을 찾아 헤메었으나

단 한 번도 스스로를 사랑하지 않았노라

(기형도, “질투는 나의 힘” 중)



 

기형도의 시 속 화자가 평생을 미친 듯이 찾아 헤맨 사랑의 대상은 현실에 존재하지 않았을 지도 모른다. 그러나 최후에 이르러 그 대상이 자신이 될 수 있음을 알았다면, 그 헤메임 속 어딘가에는 사랑의 대상이 이미 숨어있었다고도 말할 수 있다. 정서(Affekte)란 느낌이나 표상(Vorstellung)과 달리 그 분명한 외부의 대상을 갖고 있지 않다. 그러나 현실에 그 대상이 존재하지 않는다고 해서 그러한 정서가 사라지지는 않는다. 그렇지 않다면 어떻게 “미친 듯이 사랑을 찾아 헤메”일 수 있었겠는가? 정서란 막연한 어떤 대상을 자신 안에 이미 갖고 있다는 의미에서 “감정의 확실한 상태”라고 부를 수 있다. 만일 우리가 사랑처럼 희망도 이렇게 정서라고 말할 수 있다면, 희망의 대상이 현실에 주어져 있지 않기 때문에 그 희망의 정서조차 없다고 할 수는 없다. 이런 까닭에 정서란 “반쯤은 직접적으로 전해지는 자신의 감정으로서 우리의 의식에 가까이 와 닿는 것”이다.(Bloch, 2004: 142)

사랑을 찾는 헤메임을 불분명한 표상을 대상으로 하면서 끊임없이 그 대상을 찾기 위해 나아가는 갈망이라고 한다면, 희망 역시 그 표상이 불분명하다 할지라도 그것을 통해 자신이 바라는 내용을 지닌 갈망으로 이행하게 된다. 이를 “희망의 목표 없는 진행”이라고 부를 수 있다.(ibid: 143) 정서를 이렇게 아직 의식되지 못한 대상을 향한 나아감으로 보는 관점은 매우 중요하다. 후설의 현상학에서 정서란 ‘성분(Gehalt)’을 내용을 갖는다. 이 때 성분이란 현실에서 인식이 가능하나 아직은 불투명한 대상을 의미한다. 그러나 블로흐의 정서는 이 성분을 뛰어넘는다. 즉 정서에는 이 불투명한 대상을 구체적인 상으로 추적하려는 경향, “아직 체험하지 못한 바를 체험하려는 전의식적 인간의 의향”이 포함된다. 따라서 그는 성분과 같이 정서의 내용이 의식에 아직 인지되지 못한 경우는 “추상적 사고(Gedahke)”로, 구체적으로 인지한 경우를 “구체적 생각 혹은 표상(Vorstellung)”으로 구분한다. 지향행위로서 정서를 파악하는 관점은 앞서 말한 “확실한 상태”로서의 정서란 무엇인지를 보다 정확히 알려준다. 즉 여기서 상태란 정적인 상태가 아니라 건강한 신체를 보존하려는 적극적인 지향으로서의 상태를 의미한다. 그래서 블로흐가 말하는 상태란 “건강(Befinden)”과 같이 자기보존의 욕망이자 목표와 구체적 대상을 찾아가려는 지향행위로서의 정서이다. 이에 반해 사고와 표상은 인간의 의지와 따로 존재하기에 그 지향성을 의지를 통해 갖게 되지만, 정서는 그렇지 않다. 정서는 이미 그 안에 지향성을 갖고 있기 때문이다.(ibid: 144)

무엇인가를 향해 나아가려는 경향에는 추구, 충동, 의향, 그리고 무엇보다 관심이 뒷받침되어야 한다. 무엇인가를 느끼려는 이러한 경향이 바로 정서를 정적이 아닌 동적인 지향을 자신의 특징으로 갖게 만들어 준다. 정서의 이러한 지향성은 배고픔을 생각하면 쉽게 이해될 수 있다. 배고픔은 무엇인가를 먹어야 한다는 지향을 이미 내부에 갖고 있다. 그렇지 않다면 배고픔이 될 수 없다. 따라서 정서의 개념화란 많은 주의를 요한다. 블로흐는 이렇게 말한다. “정서는 가까이 존재하는 것을 포괄하며, 자신 속에 커다란 방향성을 내포한다. 바로 이를 통해서 정서는 어떤 생명력을 지니게 되는 것이다. 그뿐이 아니라 정서는 존재의 방식이기도 하다. 감정은 오직 ‘감정의 움직임’을 표방하는 총체적 개념으로서, 실존적인 개념이 된다. 다시 말해 그것은 어떤 ‘직결성(Betroffenheit; Shock)’일 뿐, 이론적이고 객관적인 ‘정신’은 아니다.”(ibid: 145) 블로흐는 자신의 이러한 입장을 키에르케고르와 같은 실존주의나 데카르트, 스피노자의 정서 개념과 명확히 선을 그으며 전개하고 있다. 요컨대 근대 합리주의 철학에서 인간감정은 합리성과 이성의 왕국에 들어오면 안될 속인들의 “수다스러움의 세계”였다는 것이다.

[블로흐 독서노트]

Posted by WYWH